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1년 대비 증감 | |
---|---|---|---|---|---|
금액 | 비율(%) | ||||
유동자산 | 6,304 | 7,110 | 7,523 | 413 | 5.8% |
비유동자산 | 10,632 | 12,584 | 12,969 | 385 | 3.1% |
자산총계 | 16,936 | 19,694 | 20,492 | 798 | 4.1% |
유동부채 | 7,769 | 8,038 | 8,927 | 889 | 11.1% |
비유동부채 | 4,038 | 5,757 | 6,099 | 342 | 5.9% |
부채총계 | 11,807 | 13,796 | 15,026 | 1,230 | 8.9% |
재배기업의 소유주 | 4,501 | 4,666 | 4,122 | -544 | -11.7% |
비지배지분 | 628 | 1,232 | 1,344 | 112 | 9.1% |
자본총계 | 5,129 | 5,898 | 5,466 | -432 | -7.3% |
구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1년 대비증감 | |
---|---|---|---|---|---|
금액 | 비율(%) | ||||
매출 | 23,112 | 25,189 | 28,383 | 3,194 | 12.7% |
영업이익 | 460 | 385 | 263 | -122 | -31.7% |
EBITDA | 1,671 | 1,669 | 1,644 | -25 | -1.5% |
당기순이익(손실) | 118 | 3 | -369 | -372 | -12400.0% |
총포괄이익(손실) | 53 | 226 | 121 | -105 | -46.5% |
구분 | 단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액면가 | 원 | 500 | 500 | 500 |
발행주식총수 | 주 | 42,155,119 | 42,155,122 | 42,155,122 |
주가 | ||||
- 최고가 | 원 | 20,950 | 23,000 | 18,600 |
- 최저가 | 원 | 15,100 | 16,000 | 10,050 |
- 종가 | 원 | 16,550 | 17,300 | 11,200 |
외국인 지분율 | % | 0.81 | 1.06 | 0.92 |
총 고용은 풀무원의 일자리 창출 현황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입니다. 총 직원 수는 풀무원 직접 고용계약을 맺고 있는 정규직과 비정규직(계약직) 인원을 의미합니다. 2020년 말 기준 총 직원 수는 2019년 대비 6.3% 증가한 6,475명입니다.
주요 다양성 지표인 여성직원 비율은 2019년 대비 0.2% 증가하였으며, 여성 관리자 비율은 2019년 대비 1.9%p 증가한 20.6%를 기록하였습니다.
신규 채용 및 이직 인원 수는 풀무원과 직접 고용계약을 맺은 정규직과 비정규직(계약직) 직원을 대상으로 하며 연령과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합니다. 2020년 총 신규채용 인원은 전년대비 33.7% 감소하였으며, 이직률은 21.8%를 기록하였습니다.
구분 | 단위 | 2018 | 2019 | 2020 | |
---|---|---|---|---|---|
총 신규채용 | 명 | 1,128 | 811 | 538 | |
성별 | 남성 | 411 | 426 | 245 | |
여성 | 717 | 385 | 293 | ||
연령별 | 30세 미만 | 260 | 344 | 196 | |
30세
이상 50세 미만 |
520 | 386 | 271 | ||
50세 이상 | 348 | 81 | 71 |
구분 | 단위 | 2018 | 2019 | 2020 | |
---|---|---|---|---|---|
총 이직율 | % | 17.1 | 23.5 | 21.8 | |
성별 | 남성 | 명 | 470 | 605 | 512 |
여성 | 467 | 650 | 593 | ||
연령별 | 30세 미만 | 289 | 355 | 383 | |
30세
이상 50세 미만 |
506 | 623 | 506 | ||
50세 이상 | 142 | 277 | 216 |
풀무원은 조직원의 출산 및 육아에 대한 부담 저감을 위해 모유수유실 마련, 출산 축하 경조금 지급, 자녀학자금 지원, 사내 어린이집 운영, 유연근무제도 등 다양한 양육 지원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구분 | 명칭 | 2018 | 2019 | 2020 |
---|---|---|---|---|
출산휴가 사용자 | 명 | 120 | 92 | 90 |
출산 후 복귀율 | % | 97 | 92 | 94 |
육아휴직 사용자 | 전체 | 124 | 141 | 166 |
여성 | - | 109 | 125 | |
남성 | - | 32 | 41 | |
육아휴직 후 복귀율 | % | 78 | 94 | 76 |
직장근속비율 | 86 | 72 | 44 |
직원들이 맡은 업무에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인적역량 강화 방안을 수립하고 다양한 교육 및 훈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풀무원과 업무에 대한 임직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매년 조직진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조직진단 결과는 업무환경 개선 목적으로 활용되며 영역별/문항별 분석을 통해 조직별, 성별, 직급별 차이를 분석합니다.
풀무원과 업무에 대한 임직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매년 조직진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조직진단 결과는 업무환경 개선 목적으로 활용되며 영역별/문항별 분석을 통해 조직별, 성별, 직급별 차이를 분석합니다.
풀무원은 사업장에서의 안전보건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습니다. 사업장 내 근로자를 업무로 인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산업안전 관련 법률을 준수하며,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도록 노력합니다.
풀무원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안전한 바른먹거리 제품 개발을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습니다. 영양균형은 물론 환경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LOHAS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풀무원은 사업진행 과정에서 상표권과 특허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풀무원은 매년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상담 고객만족도조사를 실시하여 부족한 사항은 개선하고 좋은 평가를 받은 사항은 더욱 강화하여 고객에게 보다 큰 만족을 드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풀무원은 생명존중과 이웃사랑 정신을 바탕으로 건강한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하기 위해 건강한 먹거리, 건강한 환경, 건강한 사회 3대 영역에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풀무원은 국제적으로 확대·강화되고 있는 제품 환경규제 대응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유해화학물질 관리 항목과 기준을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2022년 목표인 에너지원단위 27% 절감(2008년 대비)을 위해 에너지사용 효율화로 노후설비의 변경, 고효율 LED 확산, 제품 수배송의 효율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더욱 확대할 계획입니다.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활동으로 태양열 집열 시스템,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의 신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제품생산 과정에 투입되는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용수절감 설비 교체, 용수 재이용 등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제품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량을 줄여나가고 있으며 소각, 매립 보다는 우선적으로 재활용 처리하여 환경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버려지는 폐기물이 아닌 순환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고객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원이 효율적 사용을 위해 친환경 구매 원칙을 수립하였으며, 구매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